해양바이오산업은 해양생물의 시스템, 구성성분 및 기능 등을 규명하여 유용한 물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의 총칭으로, 이는 해양학, 수산학, 생물학,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생물정보학 등을 이용하여 기반기술인 해양생물의 보전 및 이용과 해양생물 기능의 조절은 물론 식량과 에너지 획득, 유용물질의 생산 등에 대하여 탐구하는 산업 전반에 관련된 전공을 수학하는 학문으로 해양바이오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해양자원 확보 및 해양자원 유용 소재 개발에 주력을 하고 있으며, 이는 해양바이오 전문가의 수요 증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해양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2018년 신설된 학과로 국내 유일의 해양바이오학관련 학과입니다.
교육목표
유용 해양(수산) 동식물의 생태·생리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해양자원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해양(수산) 관련된 질병 관리, 식품, 바이오 및 이와 관련된 산업 등 광범위한 지식을 교수하여 해양(수산)과 관련된 전문성과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선도 지식인을 양성한다.
수산질병관리사(어(魚)의사) 양성
국제경쟁력 갖춘 해양바이오 글로벌리더 양성
관련자격증
수산질병관리사(구, 어병기사)
수산물품질관리사
삭품(산업)기사
수산양식(산업)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관상어관리사 등
졸업 후 진로사항
해양과학기술연구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국립수산과학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환경관리공단,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의 국가 연구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