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art Defense & Security Convergence Research Institute
한서 스마트 국방·안보융합연구소
설립목적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국방 및 안보 연구 활성화
- 한서대 항공/드론분야 특성화 활용 지ㆍ산ㆍ학ㆍ연ㆍ군 국방/안보발전 협력 강화
- 드론, AI, 빅데이터, Io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국방ㆍ안보 솔루션 개발
- 군 및 공공기관과 협력하여 실용적 연구 및 정책 제안 수행
비 전
한서대를 미래형 스마트 국방·안보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항공·드론분야 글로벌 연구 허브로 자리매김
운영 목표
- 스마트 국방 및 안보 관련 첨단 기술 연구 및 실용화 촉진
- 국방 및 공공안전 분야의 스마트 기술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R&D) 수행
- 군·정부·산업체와 협력을 통한 국방 및 안보 기술 혁신 기여
- 학제 간 융합 연구 활성화 및 관련 학문 발전 도모
- 차세대 국방 및 안보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조직도 / 부서별 기능
총회, 운영위원회
- 연구소 운영 방향과 주요 사업 검토를 위한 의사결정
국방 스마트 기술 연구부
- 한서대 항공·드론·UAM분야 교육인프라 활용 국방기술 개발, AI기반 무인체계 솔루션, IoT/센서 네트워크 구축
국방 사이버안보 연구부
- 사이버 위협 분석/대응 시스템, 암호화 통신 기술/사이버 방어훈련 시뮬레이션 플랫폼 연구
국방 스마트 전문인력 양성부
- 국방 항공(조종사·MRO·관제)/드론 전문인력 양성 연구, 항공·드론·UAM분야 최적화된 e-MU지원제도 연계
국방정책 및 전략 연구부
- 스마트 국방정책/군사 관련 학문적 연구, 안보전략 개발, 첨단 기술의 국방 도입 방안 연구
국방 차세대 에너지 연구부(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등)
- 항공모빌리티용 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연구/개발, 차세대 배터리 기술 연구
행정지원실 등
연구소 주요 기능
- 스마트 기술 기반 국방 연구 및 개발 (R&D)
- 스마트 국방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 국방 · 안보 실증 테스트베드 제공
-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 미래형 시스템 연구
연구소 운영/추진사업
- 스마트 국방안보 관련분야 학술연구 및 개발 용역
- 국방안보 트랜드에 맞는 스마트기술 기반 국방·안보 연구
- 스마트 국방 항공(조종사·MRO·관제) 및 드론·UAM·AI전문인력 양성(국방 e-MU지원제도 연계)
- 국방과학기술군 기반 스마트 국방 정책·전략 연구
- 군 드론·UAM용 차세대 대체에너지 연구 및 개발(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등)
- 국방안보 관련 학술발표, 전시회, 워크샵 및 세미나 개최
- 지·산·학·연·군 협력사업 창출 및 공동 추진
- 기타 연구소 목적에 부합되는 사업 추진
사업추진현황
- 국방관련 기관 MOU/교류
- 전력지원체계사업단: 24. 4. 24/태안캠퍼스/대학총장, 전력지원체계사업단장 등 17명
- 육군항공사령부: 22. 6. 17/태안캠퍼스/대학총장, 육군항공사령관 등 13명
-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23. 12. 1/서산캠퍼스/대학총장,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장등 12명
- 국방드론작전사령부: 23. 12. 5/드론작전사령부(경기 포천)/대학총장, 드론작전사령관등 15명
- 해외 대학과 MOU/교류
- 우즈베키스탄 국립교통대학교 : 24. 7. 5/드론작전사령부(경기 포천)/대학총장, 드론작전사령관등 15명
- 우즈베키스탄 국립교통대학교 : 24. 7. 2/온라인 서명(한서대대학총장, 교통대부총장)
- 우즈베키스탄 국립교통대학교 : 25. 1. 15/온라인 서명(대학 총장, 우즈벡 외국어대학교 총장)
- 우즈베키스탄 국제기술대학교 : 25. 2. 28/온라인 서명(대학 총장, 우즈벡 사마르칸트국제기술대학교 총장)
- 태국 왕립기술대학교 : 24. 11. 7/온라인 서명(한서대대학총장, 왕립기술대학교 총장)